본문 바로가기

Data Literacy/Google Analytics

(56)
1. GA 기능 프리뷰(6) - 수익 창출(Monetization) 세부정보 리포트 이번에는 수익 창출과(Monetization) 관련된 리포트와 메뉴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메뉴를 보시면 수익 창출(Monetization) 하위에 전자상거래 구매(Ecommerce Purchases)를 비롯한 몇 가지 메뉴가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단 제일 먼저 전자상거래 구매(Ecommerce Purchases)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시계열 차트와 테이블이 (또) 등장하고 있습니다. 여기 하단의 테이블의 측정 기준(Dimensions)이 무엇인지 확인해 볼까요? 여기에서의 기본 측정 기준(Dimensions)은 바로 항목 이름(Item Name)입니다. 내역을 보면 해당 샵에서 판매하는 개별 상품들의 이름이라는 것을 쉽게 눈치챌 수 있습..
1. GA 기능 프리뷰(5) - 참여(Engagement) 세부정보 리포트 이번 아티클에서는 참여(Engagement)에 대한 내용들을 다뤄보겠습니다. 이전의 획득(Acquisition)의 경우 사용자의 유입 경로를 중심으로 다루는 영역이었죠. 이번 시간부터 다룰 참여(Engagement)는 아래 이미지의 메뉴에서 예상할 수 있듯이 이벤트(Event)나 전환(Conversion) 등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다루는 부분입니다. * Acquisition : 어떻게 왔는가? * Engagement : 무슨 짓을 했는가? 물론 여기서 말하는 참여(Engagement)와 비슷하게 사용하는 '참여 유저'의 개념이 있습니다. 1. GA 기능 프리뷰(2) - 인구통계 : 측정 기준, 측정 항목, 세션, 이벤트, 전환 이제 GA의 메뉴들 중, [인구 통계] 기능을 먼저 중점적으로 훑어보겠습니..
1. GA 기능 프리뷰(4) - 획득(Acquisition) 세부정보 리포트 : 사용자 획득, 기본 채널 그룹(유입경로) 2 앞선 내용에서 획득(Acquisition)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고, 신규 사용자 기본 채널 그룹(First User Default Channel Group)과 관련된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여기서 이 채널 그룹의 분류를 적용하는 기준이 무엇일까요? 자동으로 페이지를 인식하고, 거기서 채널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일까요? 사실은 생각보다 이러한 구분이 자동화되어있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실제로는 검색 사이트 / 영상 사이트 / 쇼핑 사이트 / 소셜 사이트 도메인을 수집하여 분류해놓고 있고, 해당하는 사이트에서 유입이 되거나 광고가 집행된다면 그 도메인 구분 값을 기준으로 채널 그룹을 분류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검색엔진으로 구분되는 도메인은 baidu, br.search.yahoo.com, msn, ..
1. GA 기능 프리뷰(4) - 획득(Acquisition) 세부정보 리포트 : 사용자 획득, 기본 채널 그룹(유입경로) 1 이제 표준 리포트(Reports) 메뉴에 존재하는 획득(Acquisition) 메뉴의 개념과 역할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표준 리포트(Reports) 메뉴의 Life Cycle 메뉴에 보면 가장 먼저 획득(Acquisition) 메뉴와 그 하위 메뉴들 역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그랬듯 획득 개요(Acquisition Overview) 메뉴는 간단하게 대시보드를 살펴보는 정도로만 둘러보고, 개념들을 정의하기 위한 사용자 획득(User Acquisition : First User Default Channel Group) 메뉴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사용자 획득(User Acquisition) 메뉴에 진입하면, 역시 다음과 같은 시계열 차트와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이 테이..
1. GA 기능 프리뷰(3) - 기술 세부정보: 기술 세부정보, 보조 측정기준과 2차원 리포트 지난 시간에는 인구 통계(User Attributes) 메뉴의 인구 통계 세부정보(Demographic Details) 메뉴에서 여러 가지 테이블과 수치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메뉴의 [기술(Tech)] 메뉴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기술(Tech)] > [기술 세부정보(Tech Details)] 메뉴로 진입해 보겠습니다. 지금 해당 [기술 세부정보(Tech Details)]로 진입했을 때, 하단의 테이블에 적용된 측정 기준(Dimensions)은 무엇인가요? 현재는 '브라우저(Browser)'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크롬, 사파리, 엣지 등의 브라우저 종류를 의미하겠죠. 위 테이블에서 측정 항목(Metrics) 중에 '이벤트 수(Event Count)'를 선택해 보겠습니다. 여기서 이벤트 '..
1. GA 기능 프리뷰(2) - 인구통계 : 측정 기준, 측정 항목, 세션, 이벤트, 전환 이제 GA의 메뉴들 중, [인구 통계] 기능을 먼저 중점적으로 훑어보겠습니다. GA 메인 메뉴의 [보고서(Reports)] > [인구통계(User Attributes)] 메뉴로 진입해 보겠습니다. * 참고로 [보고서] 메뉴의 [보고서 개요], [실시간] 메뉴를 통해서 전체적인 내용을 살펴볼 수 있는 대시보드를 볼 수 있지만 - 실제로 해당 메뉴를 의미 있게 이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사실 [인구통계] 메뉴에서도 [개요]를 확인할 수 있지만, 이 역시 위에서 말한 것 처럼 간단한 대시보드로서의 역할만 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크게 높지는 않습니다. 여기서는 [인구통계] > [인구통계 세부정보] 로 진입해 보겠습니다. 위와 같은 화면을 보게 됩니다. 일단 여기서 [맞춤 설정] 메뉴를 통해 날짜는 4월 1일..
1. GA 기능 프리뷰(1) - GA4 demo account 접근하기 우선 GA4의 본격적인 사용 방법을 확인하기 전에, GA에서 제공하는 데모 계정을 통해서 GA4의 간단한 기능들을 훑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아래 FAQ 페이지에서 데모 계정으로 접근하는 링크를 제공합니다. 잘 알려진 웹 페이지 Google Merch Shop 계정이 있고, 최근에는 앱(게임) 분석을 위한 데모 계정 Flood it! 계정도 함께 제공합니다. 여기서는 Google Merch Shop 계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gmail 계정이 로그인된 상태의 크롬 브라우저에서 [Google 애널리틱스 4 속성: Google Merchandise Store(웹 데이터)] 링크를 클릭해 이동해 보겠습니다. 데모 계정 - 애널리틱스 고객센터 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예아니요 s..
0. GA4 기본 개념과 전환(conversion)의 의미 일반적으로 우리는 GA(Google Analytics)를 '웹 로그 분석 툴'로 정의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왜 '로그(log)'라는 단어를 쓸까요? 사실 너무나도 흔하게 사용하는 단어지만 정확한 어원은 모르고 있었네요. log라는 단어는 말 그대로 '통나무'를 의미하고, 배를 타고 항해할 때 항해 일지를 종이가 아닌(비싸서) 통나무에 기록하던 것에서 기인하는 단어입니다. 그런데 이 로그 기록이 시각 / 동작 / 세션 정보와 같은 형태의 정보 나열로만 이루어져 있을 경우, 이것을 보고 그대로 해석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릅니다. 단순히 상황 나열에 그치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러한 로그 정보를 보고 사람이 인사이트를 가질 수 있도록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툴이 바로 Google Analytics와 같은 툴입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