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표준 리포트(Reports) 메뉴에 존재하는 획득(Acquisition) 메뉴의 개념과 역할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표준 리포트(Reports) 메뉴의 Life Cycle 메뉴에 보면 가장 먼저 획득(Acquisition) 메뉴와 그 하위 메뉴들 역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그랬듯 획득 개요(Acquisition Overview) 메뉴는 간단하게 대시보드를 살펴보는 정도로만 둘러보고, 개념들을 정의하기 위한 사용자 획득(User Acquisition : First User Default Channel Group) 메뉴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사용자 획득(User Acquisition) 메뉴에 진입하면, 역시 다음과 같은 시계열 차트와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이 테이블의 측정 기준(Dimensions)은 무엇인가요? 바로 신규 사용자 기본 채널 그룹(First User Default Channel Group)입니다. 측정 항목(Metrics)의 값은 이미 배웠던 내용이라 감이 오지만, 측정 기준(Dimensions)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기본 채널 그룹, 즉 Default Channel Group이 중요합니다. 여기서 Default(기본)라는 단어는 GA에서 미리 설정해 둔 값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채널 그룹(Channel Group)은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나 앱에 유입하게 되는 경로를 일정한 기준을 가지고 분류해 놓은 것을 의미하죠. 카카오톡 링크로 들어오거나, 아니면 어떤 게시판에서 링크로 들어온다거나 혹은 검색을 통해서 들어왔다거나 하는 경로를 말하게 됩니다.
즉, 여기서 말하는 신규 사용자 기본 채널 그룹(First User Default Channel Group)은 "신규 사용자가 유입된 채널 그룹(유입 경로)의 집합인데, GA에서 미리 정의해 둔 것이다"라는 의미가 되는 거죠.
위의 테이블을 보면 해당 기간 동안 측정 기준 항목에서 [First User Default Channel Group]이 설정되어 있고, 10개의 측정 기준이 나타납니다. 물론 GA에서 정의하고 있는 채널 그룹은 이보다 많은 17개입니다. UA에서는 8개 수준이었는데, 세부적으로 늘어난 것이죠. 이것들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NO. | 기본 채널 그룹 | 설명 |
1 | Paid Search | 유료로 집행되는 검색 광고. e.g.) 네이버의 '파워링크' |
2 | Organic Search | 검색 엔진에서 유료 광고가 아닌 자연 검색 결과로 유입되는 경우. |
3 | Paid Video | 유료로 집행되는 비디오 광고. e.g.) 유튜브에 나오는 영상광고 |
4 | Organic Video | 유튜브 등에서 비광고 콘텐츠를 통해서 유입되는 경우 |
5 | Display | 웹페이지에 흔히 나오는 '배너광고'. e.g.) 신문기사나 블로그 중간에 들어가는 배너형 광고 |
6 | Cross-Network | Google Ads에서 Paid Search 타입 광고를 집행할 때 옵션으로 진행하게 되는 광고형태. 검색 영역 이외의 구글의 네트워크 지면(검색 네트워크, 디스플레이 네트워크)에 게제된 광고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를 의미(참고). 일반 검색 광고는 Paid Search로 분류된다. |
7 | Paid Social | SNS에서 유료로 집행되는 소셜 미디어 광고. e.g.)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틱톡, 링크드인 등 |
8 | Organic Social | SNS에서 비광고 콘텐츠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 |
9 | Paid Shopping | [쇼핑 사이트 목록 중] 유료로 집행되는 쇼핑 광고 |
10 | Organic Shopping | [쇼핑 사이트 목록 중] 비광고 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 |
11 | Referral | 다른 도메인에서 추천되어 유입되는 경우. 네이버 블로그에 어떤 상품의 링크를 걸었고, 3자가 그것을 클릭하여 해당 페이지에 유입되었다면 - 이 경우를 레퍼럴로 분류한다. '다른 도메인'인 블로그를 통해서 추천 및 유입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참고로 기준이 되는 웹페이지 방문 직전의 URL을 Referral-URL로 칭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내 페이지에 방문하기 직전의 어떤 페이지를 통해서 유입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
12 | Affliates | 계열사를 의미한다. 위의 레퍼럴로 분류되는 도메인 중, 우리회사 계열사나 연계성이 특별한 도메인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별도로 세팅하여 - "특정 도메인일 경우에는 계열사로 따로 분류한다"라고 명령할 수 있다. |
13 | Direct | 단순히 개념적으로 '직접 주소를 입력해서 들어온다' 라고 해석하겠지만, 정확한 사전적 의미는 "해당 페이지에 유입되었을 때, 레퍼럴 URL이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어떠한 이유든간에 해당 페이지 랜딩 시점 직전의 레퍼럴 URL이 유실된다면 Direct로 취급한다. - 북마크에서 클릭했을 때 - URL을 직접 타이핑 했을 때 - 카카오톡으로 공유했을 때, '카카오톡 채팅 창'은 URL이 없는 페이지여서 Direct로 잡힌다. - 바탕화면 바로가기 아이콘 - https에서 http로 넘어가는 경우 : https가 보안처리되어서, http로 랜딩하면 레퍼럴 URL이 없는 것으로 취급된다. 그래서 http 사이트의 경우 Direct가 유난히 많이 집계되는 경향이 있다. |
14 | Audio | 오디오 광고. 한국에서는 서비스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며, 분류만 기억해두면 된다. |
15 | 이메일을 통한 유입 | |
16 | SMS | 문자 메시지를 통해 유입 |
17 | Mobile Push- Notification |
앱의 푸시 메시지를 통해서 유입 |
그런데 GA는 어떻게 수많은 웹사이트를 위의 분류 기준을 통해 구분하게 되는 것일까요? 이는 다음 아티클에서 살펴보겠습니다.
'Data Literacy > Google Analy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GA 기능 프리뷰(5) - 참여(Engagement) 세부정보 리포트 (0) | 2023.06.13 |
---|---|
1. GA 기능 프리뷰(4) - 획득(Acquisition) 세부정보 리포트 : 사용자 획득, 기본 채널 그룹(유입경로) 2 (0) | 2023.06.12 |
1. GA 기능 프리뷰(3) - 기술 세부정보: 기술 세부정보, 보조 측정기준과 2차원 리포트 (0) | 2023.06.08 |
1. GA 기능 프리뷰(2) - 인구통계 : 측정 기준, 측정 항목, 세션, 이벤트, 전환 (0) | 2023.06.05 |
1. GA 기능 프리뷰(1) - GA4 demo account 접근하기 (0) | 2023.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