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ta Literacy

(102)
4. GA4 이벤트 생성(2) - 인터랙션 이벤트 설정 3 : GTM Interface Review 우선 이번 아티클에선 기본적인 GTM의 메뉴 인터페이스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설명했다시피 GTM은 [계정]과 [컨테이너]로 구성되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마치 GA가 [계정]과 [속성]을 갖는 것과 비슷한 레벨의 구조라고 보시면 됩니다. gmail 계정 하나에는 무한대의 GTM [계정]을 생성할 수 있고, 각각의 계정에서 하위에 컨테이너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하나의 서비스(사이트)에는 하나의 컨테이너만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이 원칙을 지켜야 합니다. 우측 상단에 [미리 보기]와 [제출] 버튼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이는 GTM의 작업과 배포 프로세스와 연관이 되어 있죠. [미리 보기] 버튼을 이용하게 되면, 라이브로 배포되기 전에 로컬 디바이스..
4. GA4 이벤트 생성(2) - 인터랙션 이벤트 설정 2 : GTM 삽입하기 이번 아티클에서는, 앞서 살펴본 인터랙션 이벤트와 GTM의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실제 GTM 세팅과 확인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프로세스 상으로는 '컨테이너 생성'을 진행하고, 이 '컨테이너를 서비스에 삽입'하는 부분을 진행하는 것입니다. 우선은 Google Tag Manger로 들어가서 새로운 계정을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Google 애널리틱스 로그인 Google 애널리틱스로 이동 accounts.google.com 참고로 GTM은 [계정] > [컨테이너] 레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계정은 복수로 생성이 가능하니, 우선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계정 만들기]를 실행해 새로운 계정을 추가하겠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확인해 주세요 계정 이름은 구분하기 좋은 이름을 삽입하고, 그다음은 컨테이너 이름을 설..
4. GA4 이벤트 생성(2) - 인터랙션 이벤트 설정 1 : 기본 원리 & GTM 앞선 내용에서는 [단순 page_view] 이벤트를 기반으로 커스텀 이벤트를 생성하고 GA로 전송해 구분하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간단하지만, 조건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꽤 중요한 동작을 감지할 수 있죠(회원가입, 탈퇴...) 4. GA4 이벤트 생성(1) - 페이지 도착 커스텀 이벤트 생성 이번 챕터부터는 이벤트를 설정하여 GA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할 것입니다. 이 "이벤트"들이 GA로 전송되면 우리는 비로소 이 이벤트의 발생 기록을 통해서 고객들의 동선과 행동을 파악할 수 nozeroslope.tistory.com 페이지 뷰 기반의 이벤트 설정은 매우 간단했기 때문에 아티클 하나로 금방 끝났습니다. 하지만, 특정 버튼 클릭 / 스크롤 등의 인터랙션 이벤트를 생성하고 전달하는 것은 생각보다 매..
4. GA4 이벤트 생성(1) - 페이지 도착 커스텀 이벤트 생성 이번 챕터부터는 이벤트를 설정하여 GA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할 것입니다. 이 "이벤트"들이 GA로 전송되면 우리는 비로소 이 이벤트의 발생 기록을 통해서 고객들의 동선과 행동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이벤트는 결국 [고객의 행동]을 기록하게 됩니다. 그리고 여기서 고객의 행동은 (임의지만) 크게 두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1. 단순 페이지 조회 : GA4 내에서 설정 가능 2. User Interaction : 별도 코드 작업 필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단순한 페이지 방문을 했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를 기록해 GA로 보내는 것은 GA의 기본 메뉴만으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이외의 인터랙션을 GA로 이벤트 전송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코드 작업이 필요한데요, 이는 추후 살펴보기로..
3. UTM 파라미터 설정(5) - 맞춤 채널 그룹 설정 2 앞서서 우리는 '맞춤 채널 설정'에 대한 기본적인 사용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3. UTM 파라미터 설정(5) - 맞춤 채널 그룹 설정 1 앞서서 UTM 파라미터 설정 과정에서 다양한 기본 채널 그룹을 사용했습니다. 생각보다 구분 기준이 많이 헷갈리는 부분이니, 다시 한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3. UTM 파라미터 설정(4) - UTM 기술기 nozeroslope.tistory.com 이제는 이 기본 사용 방법을 기반으로, 실제 사례와 비슷한 방식으로 맞춤 채널 그룹을 생성해 보고, 이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기존 방식대로 [Admin] > [Data Settings] > [Channel Groups]로 이동하고, 여기서 [Create new channel gr..
6. 데이터 선별하기(2) - HLOOKUP 우리가 앞선 아티클에서 살펴보았던 VLOOKUP은, 말 그대로 '열(vertical)'을 중심으로 데이터를 조회했습니다. 예시를 다시 살펴볼까요? =VLOOKUP($D55,직원명부LIST!$E:$K,3,0) 위와 같이 기준 열(D55)의 데이터 값이 대상 전체 셀(직원명부LIST!$E)의 첫 번째 열에 있는지 검색하고, 만약 있을 경우 해당 열을 기준으로 세 번째(3)에 있는 열의 데이터를 불러오는 것을 명령하는 함수입니다. 이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의 개념과 사실 잘 맞아 떨어지는 방식입니다. 즉, row(행)을 하나의 데이터로 보고 column(열)을 속성의 일종으로 보는 개념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지요. 어떤 기준 행 데이터를 찾고, 거기서 특정 '속성'의 값을 불러오는 개념이 되는 것입니..
Chapter 3. 집합 연산자와 서브쿼리 - (2) UNION과 합집합 3 ○ UNION ALL 사용하기 지금까지 알아본 UNION의 속성은, 일단 '합집합'이라는 기본 개념을 베이스로 동작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성질의 가장 큰 특징은 자연스럽게 중복되는 테이블의 데이터를 생략한다는 점이지요. 우리가 배웠었던 SELECT DISTINCT에서 DISTINCT 쿼리가 디폴트로 적용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Chapter 3. 집합 연산자와 서브쿼리 - (2) UNION과 합집합 2 앞선 아티클에서 우리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전반적인 용어의 개념과, 이를 바탕으로 합집합 개념인 UNION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Chapter 3. 집합 연산자와 서브쿼리 - (2) UNION과 합집합 1 우 nozeroslope.tistory.com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 테이블에서 UNION을..
3. UTM 파라미터 설정(5) - 맞춤 채널 그룹 설정 1 앞서서 UTM 파라미터 설정 과정에서 다양한 기본 채널 그룹을 사용했습니다. 생각보다 구분 기준이 많이 헷갈리는 부분이니, 다시 한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3. UTM 파라미터 설정(4) - UTM 기술기준, 정규표현식 우리는 앞선 아티클에서 사용자의 유입경로와 관련해 Default Channel Group에 대한 종류와 구분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크게 보았을 때 사이트 리스트에 등재된 URL을 기준으로 기본적인 구분이 이 nozeroslope.tistory.com GA4에는 여기까지 배웠던 기본 채널 그룹 구분과 별개로, 우리에게 필요한 채널 구분을 직접 만들어 적용할 수 있는 맞춤 채널 그룹 설정 기능을 제공됩니다. GA4에서 추가된 새로운 기능이죠. 이제까지 실습을 진행해 왔던 데모 계정으로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