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Literacy/Marketing (16) 썸네일형 리스트형 SKAN 4.0 - 8. SKAN에서의 CV 설정 예시 2 ○ 예시 2 - 평균적으로 첫 구매가 2일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 이번 예시에서는 첫 구매가 평균적으로 2일이 지난 후에 발생하는 쇼핑몰 앱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도 KPI는 동일하게 수익이지만 상세 전환 측정이 가능한 첫 번째 윈도우 이후에 대부분의 구매가 일어나는 경우이므로 상당히 다른 방식의 설계가 필요합니다. 첫 번째 윈도우에서 구매가 발생하기는 하지만 주요 구매 기간이 아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기존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관여 이벤트를 먼저 설정하게 됩니다. 즉, 구매 이벤트 발생 직전에 카운팅되는 이벤트를 분석하여 할당합니다. 장바구니 담기 액션 횟수, 좋아요나 즐겨찾기 실행 횟수, 상품 조회 횟수 등이 있을 것입니다. 여기에 2일 이내의 평균 구매 금액도 함께 설정할 수 있습니.. SKAN 4.0 - 8. SKAN에서의 CV 설정 예시 1 이제까지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CV를 설정하는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 예시 1 - 평균적으로 첫 구매가 2일 이내 발생하는 경우 · 게임의 기본 KPI는 '수익'임· 평균적으로 첫 구매는 2일 이내 발생함· 진성 유저 기준점 : $25(이상) 구매· 2일 내 최대 결제액 : $100로 측정됨 이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첫 번째 윈도우(0~2일)에서는 구매 금액에 따른 수익 구간을 최대한 세밀하게 측정하여 실제 발생데이터를 중심으로 측정합니다. 우선 가능한 세밀하게, 실제로 판매가 일어나는 수익 구간을 설정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반드시 10 단위로 설정할 필요는 없으니, 구간의 평균 값을 적절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만일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구매액이 $35 이하라고 가정하면, $35 이하의 .. SKAN 4.0 - 7. SKAN에서의 CV 설정하기 : 단순 전환값 단순 전환값(Coarse Value)는 지금까지 살펴본 상세 전환값과 다르게 Low, Medium, High로 구분된 전환값입니다. (상세 전환값의 기본 정의는 아래 아티클에서 다시 살펴보세요) SKAN 4.0 - 5. SKAN에서의 CV 설정하기 : 상세 전환값 1(수익)이제 앞선 아티클에서 살펴본 내용을 기반으로, 실제 CV(Conversion Value, 전환값)을 어떻게 설정하여 측정하게 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 첫 번째 측정 윈도우에서의 상세 전환값(Fnozeroslope.tistory.com 단순 전환 값은 아래의 그림처럼 첫 번째 윈도우에서 상세 전환 값을 받지 못하는 경우나 두 번째, 세 번째 포스트백 기간에 전달되는 전환값입니다. 우선순위와 비슷한 방식으로.. SKAN 4.0 - 6. SKAN에서의 CV 설정하기 : 상세 전환값 5(설계 예시) ○ 측정 방법에 따른 CV 수량 앞선 아티클에서 말했듯, 한 게임에서 다음 단계를 거친다고 가정해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유저가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다음 단계를 거칩니다. 5번 아이템 구매를 위해서는 반드시 레벨 3까지 클리어해야 한다고 보겠습니다.(1) 로그인(2) 레벨 1 클리어(3) 레벨 2 클리어(4) 레벨 3 클리어(5) 레벨 3단계 클리어 특정 아이템 구매(수익) 단순 인앱 이벤트로 이 5개의 이벤트를 측정하게 된다고 하면, 우리가 배웠던 전환값(Conversion Value)는 총 32개를 사용하게 됩니다. 퍼널을 사용하면 10개, 우선순위 활용 시에는 6개를 사용하게 됩니다. ○ 우선순위 매핑 아래와 같이 우선순위 매핑 방식을 살펴보겠습니다. 수익을 가장 높은 우선순위.. SKAN 4.0 - 6. SKAN에서의 CV 설정하기 : 상세 전환값 4(설계 예시) ○ 측정 방법에 따른 CV 수량 앞선 아티클에서 말했듯, 한 게임에서 다음 단계를 거친다고 가정해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유저가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다음 단계를 거칩니다. 5번 아이템 구매를 위해서는 반드시 레벨 3까지 클리어해야 한다고 보겠습니다.(1) 로그인(2) 레벨 1 클리어(3) 레벨 2 클리어(4) 레벨 3 클리어(5) 레벨 3단계 클리어 특정 아이템 구매(수익) 단순 인앱 이벤트로 이 5개의 이벤트를 측정하게 된다고 하면, 우리가 배웠던 전환값(Conversion Value)는 총 32개를 사용하게 됩니다. 퍼널을 사용하면 10개, 우선순위 활용 시에는 6개를 사용하게 됩니다. ○ 일반 전환값 매핑 기본적으로 위 이벤트를 일반적인 전환값으로서 매핑을 하게 되면, 인스.. SKAN 4.0 - 6. SKAN에서의 CV 설정하기 : 상세 전환값 3(퍼널 / 우선순위) ○ 퍼널 측정 퍼널을 사용하게 되면, CV를 선언할 때 한정된 개수(64개)로 인한 측정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단순 인앱 이벤트를 선언했을 때 보다 훨씬 적은 CV를 사용하여 SKAN을 활용할 수 있죠. 퍼널의 가장 기본적인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단계별 이벤트"를 측정하는데, 한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 "해당 이벤트보다 낮은 단계의 이벤트는 반드시 발생한 것으로" 측정한다는 것으로 측정한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앱 오픈] > [회원 가입] > [구매]의 단계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여기서 [구매]라는 이벤트는 반드시 앱을 오픈하고 회원을 가입해야만 발생이 가능한 이벤트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럼 [구매]라는 이벤트가 발생했다면, 이에 따라 [앱 오픈]과 [회.. SKAN 4.0 - 6. SKAN에서의 CV 설정하기 : 상세 전환값 2(인앱 이벤트) 앞의 아티클에서 살펴보던 상세 전환값의 설정 방식에 대해서 이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첫 번째 측정 윈도우에서의 상세 전환값(Fine Value) (1) 수익(2) 인앱 이벤트(3) 퍼널(권장)(4) 우선순위(권장) (2) 인앱 이벤트(공식 가이드) 앱 내에 구현해둔 인앱 이벤트 역시 측정 가능합니다. 미리 앱에 구현해둔 이벤트를 선택하고 범위(range)를 설정하게 되는데 크게 두 가지 유형을 선택하게 됩니다. 우선 이벤트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경우입니다. "레벨 1 클리어"와 같이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경우는, 해당 이벤트가 1회만 일어난다고 가정하고 측정 범위를 위 이미지처럼 0 - 1로 설정하게 됩니다. 만일 유저가 여러번 발생시킬 수 있는 이벤트라면(아이템 구매.. SKAN 4.0 - 6. SKAN에서의 CV 설정하기 : 상세 전환값 1(수익) 이제 앞선 아티클에서 살펴본 내용을 기반으로, 실제 CV(Conversion Value, 전환값)을 어떻게 설정하여 측정하게 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 첫 번째 측정 윈도우에서의 상세 전환값(Fine Value) 우선, 첫 번째 측정 윈도우(기간)에서 사용하게 되는 상세 전환값의 설정 방식에는, 다음 네 가지가 존재합니다. (1) 수익(2) 인앱 이벤트(3) 퍼널(권장)(4) 우선순위(권장) (1) 수익(공식 가이드) 말 그대로 앱 내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측정하는 전환값입니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범위(Range)를 설정하는 방식인데, 수익의 범위들은 공백 없이 연속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원칙이며 메타 광고에서는 4개 이상의 범위를 설정해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수익 발생 시 해당..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