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측정 방법에 따른 CV 수량
앞선 아티클에서 말했듯, 한 게임에서 다음 단계를 거친다고 가정해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유저가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다음 단계를 거칩니다.
5번 아이템 구매를 위해서는 반드시 레벨 3까지 클리어해야 한다고 보겠습니다.
(1) 로그인
(2) 레벨 1 클리어
(3) 레벨 2 클리어
(4) 레벨 3 클리어
(5) 레벨 3단계 클리어 특정 아이템 구매(수익)
단순 인앱 이벤트로 이 5개의 이벤트를 측정하게 된다고 하면, 우리가 배웠던 전환값(Conversion Value)는 총 32개를 사용하게 됩니다. 퍼널을 사용하면 10개, 우선순위 활용 시에는 6개를 사용하게 됩니다.
○ 일반 전환값 매핑
기본적으로 위 이벤트를 일반적인 전환값으로서 매핑을 하게 되면, 인스톨(0)을 포함해 총 32개의 전환 값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선결조건과 상관없이 이벤트의 매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아래의 예시처럼 레벨 2 > 3 클리어, 혹은 로그인 > 구매와 같이 발생이 불가능한 케이스가 매핑됩니다. 반드시 처음에는 로그인 이벤트가 발생해야하고, 구매를 위해서는 레벨 3 클리어가 필요하기 때문이죠. 기타 레벨 1 > 레벨 3 등의 케이스도 있을 것입니다. 결국, 사용하지 못하는 이벤트가 매핑된는 것입니다.


○ 퍼널 매핑
아래와 같이 퍼널을 사용하게 되면, 로그인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클리어가 단계로 설정됩니다. 그리고 퍼널에서 수익 이벤트는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수익 인앱 이벤트로 설정했습니다.
이제 퍼널에 추가된 이벤트 중 하나의 인앱 이벤트가 발생하면 앞 단계의 이벤트는 발생한 것으로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레벨 2]가 측정되면 로그인, 레벨 1은 필수로 발생했다고 보는 것입니다. 이제 앞서 소개한 일반 매핑보다는 불필요한 매칭이 줄어들게 됩니다.
하지만, 여전히 수익은 퍼널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따로 측정되며, 이로 인해 구매 이벤트는 여전히 선결 조건이 달성되지 않은 순서로도 매핑되기 때문에 낭비가 여전히 발생합니다.


'Data Literacy > 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AN 4.0 - 7. SKAN에서의 CV 설정하기 : 단순 전환값 (0) | 2025.04.28 |
---|---|
SKAN 4.0 - 6. SKAN에서의 CV 설정하기 : 상세 전환값 5(설계 예시) (0) | 2025.04.14 |
SKAN 4.0 - 6. SKAN에서의 CV 설정하기 : 상세 전환값 3(퍼널 / 우선순위) (0) | 2025.04.07 |
SKAN 4.0 - 6. SKAN에서의 CV 설정하기 : 상세 전환값 2(인앱 이벤트) (0) | 2025.04.05 |
SKAN 4.0 - 6. SKAN에서의 CV 설정하기 : 상세 전환값 1(수익)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