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의 아티클에서 살펴보던 상세 전환값의 설정 방식에 대해서 이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첫 번째 측정 윈도우에서의 상세 전환값(Fine Value)
(1) 수익
(2) 인앱 이벤트
(3) 퍼널(권장)
(4) 우선순위(권장)
(2) 인앱 이벤트(공식 가이드)
앱 내에 구현해둔 인앱 이벤트 역시 측정 가능합니다. 미리 앱에 구현해둔 이벤트를 선택하고 범위(range)를 설정하게 되는데 크게 두 가지 유형을 선택하게 됩니다.
우선 이벤트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경우입니다. "레벨 1 클리어"와 같이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경우는, 해당 이벤트가 1회만 일어난다고 가정하고 측정 범위를 위 이미지처럼 0 - 1로 설정하게 됩니다.
만일 유저가 여러번 발생시킬 수 있는 이벤트라면(아이템 구매, 획득 등) 위와 같이 범위를 설정하게 됩니다. 수익과 마찬가지로,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 범위의 평균 값으로 카운팅되는데, 횟수이므로 소수점은 반올림되어 집계합니다.
'Data Literacy > 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AN 4.0 - 5. SKAN에서의 CV 설정하기 : 상세 전환값 4(설계 예시) (0) | 2025.04.10 |
---|---|
SKAN 4.0 - 5. SKAN에서의 CV 설정하기 : 상세 전환값 3(퍼널 / 우선순위) (0) | 2025.04.07 |
SKAN 4.0 - 5. SKAN에서의 CV 설정하기 : 상세 전환값 1(수익) (0) | 2025.04.05 |
SKAN 4.0 - 5. SKAN에서의 포스트백 구조 4 (0) | 2025.04.04 |
SKAN 4.0 - 5. SKAN에서의 포스트백 구조 3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