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ta Literacy/Marketing

SKAN 4.0 - 5. SKAN에서의 포스트백 구조 3

 

 

 

○ 락 윈도우(Lock-window)

 

앞선 내용을 기반으로 생각해보면, SKAN은 전환 윈도우(기간)이 매우 길어서 최적화하는데 꽤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일정 조건에 도달했을 때 전환 윈도우 중간에 측정을 중단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를 락 윈도우(Lock-window) 기능이라 합니다. 측정을 중단함으로써, 해당 측정 기간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죠.

 

락을 거는(중단하는) 기준은 두 가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특정 기간에 도달하거나 (2) 단순 전환값 "high"가 달성될 경우입니다.  


하지만 특정 기간에 락을 걸어 측정을 중단한다고 해서 다음 윈도우에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위의 사례처럼 두 번쨰 측정 윈도우에서 "앱을 인스톨한지 5일째 되는 날" 측정을 중단할 경우, 5일~7일 사이의 측정은 중단됩니다. 그리고 8일차 부터 세 번째 윈도우가 동일하게 시작됩니다. 

 

결국, 락 윈도우를 설정할 떄는 [빠르게 최적화 하기 VS 전체 기간을 측정하기] 중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해서 선택해야 하겠습니다. 

 

 


 

 

 

SKAN 3의 '캠페인 ID'가 SKAN 4에서는 소스 ID(Source ID)로 변경되었습니다. 기존 2자리에서 4자리 숫자가 되어 측정 가능한 조합은 1만개가 되었습니다(0000 ~ 9999). 이에 따라 지역(Location), 광고 소재(Placement)의 구분도 가능해졌습니다. 이는 다음 아티클에서 이어서 살펴보겠습니다.

nozeroslop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