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환 윈도우(전환 측정 기간, Conversion Window)
SKAN에서 말하는 전환 윈도우(Conversion Window)는 이를테면 전환 값을 기록하는 기간의 분류를 의미합니다. 이 기간을 측정하는 기준점은 해당 앱이 설치(Install)된 시점을 의미하게 됩니다.

우선 중요한 것은, 위의 그림처럼 첫 번째 윈도우 기간에서는 상세 전환값을 수신할 수 있지만 두 번째, 세 번째 윈도우에서는 단순 전환값만을 수신 가능합니다. 상세 전환값과 단순 전환값의 정의는 아래 아티클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KAN 4.0 - 4. SKAN에서의 CV(Conversion Value)
이번 아티클부터는 본격적으로 SKAN에서의 측정 방식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SKAN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측정 단위를 CV(Conversion Value)로 칭합니다. 이는 애플에서 제공하는
nozeroslope.tistory.com
○ 포스트백 타이머(Postback Timer)
하지만 위의 전환 윈도우 기간이 지났다고 즉시 전환 값이 전달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SKAN에서 중요한 지점이 '유저의 익명성'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죠? 해당 전환 윈도우 기간에 수집된 데이터는, 유저 특정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포스트백 전달이 수집 이후의 기간에 랜덤하게 전송됩니다.
아래 그림을 살펴보겠습니다. 각각의 포스트백 타이머는, 해당 윈도우가 종료된 뒤 표시된 시간 내에 전송됩니다.

예를 들어 앱이 설치된 후, Window 1에서 수집된 포스트백이 전송되는 실제 기간은 Postback 1 타이머가 작동되는 시간에 랜덤하게 전송됩니다. 실제 인스톨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는 72시간 ~ 96시간 사이에 랜덤하게 전송된다는 의미가 됩니다(인스톨 후 0 ~ 2일간 수집된 데이터는 3 ~ 4일차에 전송됨)
SKAN 4.0에서의 포스트백 구조는 위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이루어집니다. 다음 아티클로 넘어가기 전에 해당 개념을 잘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Data Literacy > 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AN 4.0 - 5. SKAN에서의 포스트백 구조 3 (0) | 2025.04.01 |
---|---|
SKAN 4.0 - 5. SKAN에서의 포스트백 구조 2 (0) | 2025.03.31 |
SKAN 4.0 - 4. SKAN에서의 CV(Conversion Value) (0) | 2024.08.19 |
SKAN 4.0 - 3. SKAN에서의 SSOT (1) | 2024.06.08 |
SKAN 4.0 - 2. SKAN의 워크 플로우 (0) | 2024.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