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nglish/콩글리시 교정하기

"그 이슈는 미팅에서 얘기 안됐어요." 영어로 말해봅시다

괴로워하는 사람


오늘 알아볼 표현 역시 많이 쓰는 표현이죠?

어떤 주제나 이슈가 다른 대화나 미팅에서
'거론되었다.'는 표현을 자주 쓰게 되는데요,
이 표현을 좀 더 세련되게 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마 가장 많이 떠올리거나 사용하게 되는
단어는 "mention"일겁니다.

"It was mentioned at the meeting." 또는
"As you metioned..."같은 형태로 흔히 쓰이죠.

또는 bring ~ up을 사용해서,
"~ be brought up"과 같은 형태로 사용합니다.

당연히 이런 표현이 콩글리시이거나 잘못된
표현은 아닙니다. 다만, 여기서는 고착화된
표현이나 동사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구동사를
사용하는 연습을 하기위해

가장 쉬운 단어로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연습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위에서 언급한 "be mentioned"와
"be brought up"은 공통점이 있죠?

바로 수동태로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그럼 이와 다르게 좀 더 간단한 단어를 통해
표현해 보도록 합시다.


 

"The issue didn't come up at  last meeting."

(그 이슈는 지난 미팅에서 거론되지 않았습니다.)

 

"Did these issues come up in your report?"

(이 이슈들이 보고에 있었나요?)


여기서 배울 주요 표현은 바로 [come up]입니다.
역시나 생각보다 간단한 단어로 표현되어
당황스러울 정도입니다.

사실 come up이라는 표현 자체가 가질 수 있는 뜻이
너무나도 많기 때문에...
오히려 헷갈릴 수도 있지만!

일부러라도 이러한 종류의 구동사를
많이 사용하시길 권합니다.

표현을 기억하기 어렵다면, 어떠한 문제나 사건이
'수면위로 떠 오르다(come up)'는 이미지로
기억해두시면 좋을 듯 합니다.


아마 이러한 맥락 없이, come up이랑 표현을
만나게 되면 추상적으로 '위로 오다?'라고만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물론, 대략적으로 해석은 되겠지만
본인이 다시 사용하기는 어렵죠.


아마 학창시절에 '영숙어'라는 이름으로
특정 표현들을 외우는데 익숙하기 때문에
이런 기본 동사들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표현들이 오히려 어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표현에 익숙해지지 않으면
흔히 말하는 '영어식 사고'와 '네이티브의 표현'
에 다가가기 점점 어려워집니다.

come up의 경우, 다른 상황에서는
'갑작스런 일이 벌어졌다'는 표현으로도 쓰이는데
이러한 표현들을 일일이 암기하는 방식으로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어요.

"Something came up at last night."

(어젯밤에 일이 좀 있었어요)



언제나 그렇듯, 맥락과 이해를 바탕으로 반복
연습해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