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ject Management/Agile Scrum with JIRA

[Chapter 1] Jira를 사용한 Scrum 프로세스 훑어보기(1) - 프로젝트, 로드맵 생성

agile picture

 

단어는 몰라도 우선 프로세스를

지금 당장 '백로그의 뜻', '스프린트의 정의', '애자일이 무슨 뜻인지' 이런 기본적인 사항들이 궁금하신 분들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그런 단어와 Jira의 기능을 하나씩 뜯어보기 전에, 알아볼 것이 있습니다. 

 

바로 스크럼 프로젝트가 전체적으로 어떻게 돌아가는지, 전체 프로세스를 파악하는 것!

 

각 프로세스의 노드별로는 각각의 챕터에서 상세하게 설명을 할 예정입니다. 다만, 그전에 머릿속에 스크럼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전체적인 구성을 알고 각각의 스텝을 공부하시면 훨씬 더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단어의 뜻이나 지엽적인 기능에 집중하지 마세요. 대신, 아래에서 설명하는 5개의 프로세스만 기억하고 이해하신다면, 앞으로 살펴볼 아티클을 좀 더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스크럼 수행 프로세스 요약

1. 프로젝트 생성
2. 로드맵 생성
3. 백로그 등록
4. 스프린트 계획 수립
5. 스프린트 수행
* 필요에 따라 목표 달성을 위해 4-5를 반복한다.

위의 5단계를 보고 대략의 흐름이 이해가 가시나요? 각각의 단어가 감이 안가신다면, 1번부터 4번까지 가장 상위 개념에서 하위 개념으로 계획을 세분화시켜 수립하고 수행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결국 스크럼 수행 프로세스는 [어떤 프로젝트를 완료]하기 위해 [로드맵을 그리고] 이를 위해 필요한 [백로그를 산출]한 다음 실제 작업 진행을 위한 [스프린트를 수행]하는 개념입니다.

 

어느 정도 감이 잡히셨나요? 아직 감이 안 잡히셔도, 각 프로세스 별로 예시와 함께 계속 살펴볼 예정이니 너무 신경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1)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Jira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간단하게, [쇼핑몰 서비스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가정해 볼까요? 새로운 프로젝트에 착수하기 위해, 가장 상위 개념인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신규 프로젝트 생성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어 봅시다

 

프로젝트의 템플릿은 '스크럼'을 선택합니다. 참고로 프로젝트 유형의 경우, 개인적으로 스터디를 하는 목적으로 쓰고 있으니 [팀에서 관리]로 선택해 진행해 줍니다.

 

프로젝트 템플릿

 

그리고 프로젝트의 이름을 지정해 줍니다(가능한 영문으로). 그리고 [키]에는 입력한 프로젝트 명의 단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식별용 접두사가 생성됩니다. 물론, 마음에 들지 않으면 수정도 가능합니다. 저는 ShoppingMall Dev 프로젝트를 생성했기 때문에 식별자가 SD가 되었습니다. 

 

프로젝트 세부사항

템플릿과 유형 모두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는지 확인하고, [프로젝트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로드맵 메인화면
프로젝트 로드맵 화면

 

위의 그림과 같이 로드맵 화면을 확인합니다. 여기서는 우선 프로젝트인 쇼핑몰 구축의 대 목표들을 설정해 봅시다. 예를 들어 [회원 가입 체계 개발] / [상품 판매, 구매 시스템 개발] / [운영 어드민 개발] 이렇게 총 3개의 대목표를 잡아봅시다. 

 

준비되었다면, 화면 상단의 [만들기] 버튼을 클릭해 로드맵에 등록할 에픽을 생성해 줍니다.

 

에픽 생성

 

이슈 유형은 우선 [에픽]으로 설정해 줍니다. 그리고 '요약' 항목에 위에서 정의한 작업 목표를 작성해줍니다. 그리고 여기서는 별다른 설정의 필요성이 없으니,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이렇게 총 3개의 에픽을 로드맵에서 생성합니다. 

 

생성이 완료되면, 화면과 같이 로드맵 상에 에픽이 생성되었습니다. 여기에 기간 화면에 마우스 포인터를 갖다대고 각 에픽 별로 일정을 설정해 봅시다.

 

날짜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