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62)
7. Javascript 함수 (5) - 즉시 실행 함수란 즉시 실행 함수의 사용법 즉시 실행 함수(immediate function)는 함수를 정의하는 동시에, 바로 실행하는 함수입니다. 함수를 정의(선언)한 다음 해당 함수에 필요한 인자 값을 통해 호출하는 절차를 거치지 않는다는 이야기죠. 우선은 이 즉시 실행 함수의 작성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function (name) { // 익명, 기명함수 모두 가능 console.log(name); // 선언문 })('John'); // 인자 값의 전달 name 파라미터를 받아 출력하는 임의의 익명함수를 선언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즉시 실행 함수 형태로 선언 즉시 출력하였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함수 리터럴 양 옆에 또 하나의 괄호 '( )'가 추가되었습니다. 그리고 맨 마지막에는 일반적인 함수의 호출 때..
[Chapter 5] JIRA에서 자원, 인원 관리하기 자원의 개념 살펴보기 팀원 구성(초대)와 팀 빌딩의 경우, 기능 자체는 간단하기 때문에 이번 아티클에서는 자원과 인원 관리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소 재미없는 내용으로 여겨질 수도 있지만, 한 번쯤은 이론적으로 개념을 잡아야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자원(Resource) - 자원은 프로젝트 수행 시 필요한 인력 / 재료 / 비용 자원을 의미합니다. - 투입된 개별 자원의 항목과 비용을 정리하면 해당 프로젝트에 투입된 총 비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원의 종류 구분 [인력]은 투입된 시간이 큰 영향을 미치는 자원으로서, 기본 단가를 명시해 비용을 관리해야 합니다. 관리 구분에 있어서 일반 자원(generic resource) / 비일반 자원(specific reso..
7. Javascript 함수 (4) - 콜백 함수란 콜백 함수(call-back function) 드디어 문제의 콜백 함수를 다룰 때가 왔습니다. 우선, 콜백 함수는 단 한 문장으로 쉽게 정의하기보다는 여러 가지 개념이 한데 어우러져 이해해야 하는 개념이니, 차근차근 아티클을 읽고 다른 코드 예시나 구글링을 통해 여러 개념을 반복해서 접해봅시다. 끈기 있게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 콜백 함수를 사용한다는 것은 입출력 모델(I/O model)의 관점에서 봤을 때 Event Driven, Non-Blocking을 사용한다는 특징을 갖습니다. 콜백 함수라는 것이 "어떤 형식으로 코드를 작성하면 콜백 함수다!"라고 정의하기 보다는, 이러한 특성을 갖는 함수라고 이해해야 합니다. Event Driven Function Event Driven 함수로서의 성..
"내가 경험 해봐서 아는데..." 영어로 표현해 봅시다 오늘은 제목으로 어그로를 좀 끌어보았습니다. 사실 우리는 저런 꼰대 멘트가 아니더라도, 이야기를 하다보면 판단의 근거나 이야기하는 전제 조건을 말할 때가 많습니다. "내가 딱 보니까 말이야~" "꼬락서니를 보아하니~" "내가 해봤는데~" 이런 류의 문장들이죠. 그런데 써놓고 보니 왠지 비호감스러운 문장들이긴 합니다. 하지만 여러분께 배워보고자 하는 표현의 뉘앙스를 설명하려고 예시로 든 문장들이니, 분위기를 참고!만 해주시길 바랍니다. 어쨌든, 오늘은 이런류의 의도를 가진 표현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 대화를 하다 보면, 이런 표현을 심심치 않게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내가 경험해봐서 하는 말이야." 만약에 여러분이 이런 표현을 하고 싶다면, 어떻게 표현하실 건가요? 조금 더 수월하게 표현을 영작할..
[Chapter 4] JIRA에서 백로그 작성하기 - 백로그(Backlog)가 뭐야?(하) 백로그를 실제로 등록해 봅시다 우리는 앞선 상편 아티클에서 '백로그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나름대로 깊게 살펴보았습니다. 사실 개념을 살펴보는 것은 언제나 그렇듯 머리아픈 일이긴 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JIRA 안에서 실행해보지 않으면 금방 잊어버리겠죠? 함께 실습해 보도록 합시다. JIRA에서의 백로그 등록 프로세스 우선 아래의 이미지 처럼, 프로젝트에서 백로그 메뉴를 클릭하면 수행해야 할 사항을 등록할 수 있는 영역이 나옵니다. 또는, 메뉴 최상단에 있는 [만들기] 버튼을 통해서도 생성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슈 유형을 선택하는 박스가 등장합니다. "버그"는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만, 사실 "스토리"와 "작업"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 지는 조금 헷갈립니다. 이 ..
"대학교 때 댄스 동아리에서 활동했습니다." 영어로 표현해 봅시다 오늘 알아볼 표현은 인터뷰에서 자기 소개를 하거나 사람들과 취미 활동에 대해 얘기 하다보면 한 번쯤은 나올 주제죠? 학창시절의 활동에 대한 표현입니다. 아주 간단하고 흔한 표현입니다. 단순히 "내가 언제 무엇을 했다."는 문장이기 때문에 사실 크게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의외로 콩글리시가 튀어나오는 포인트가 있기도 하고, 또 약간의 변화로 세련된 영어식 표현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자, 준비 되셨나요? 우선 "나는 대학교때 댄스 동아리에서 활동했었다."라는 표현을 영어로 표현 해봅시다. 대충 생각해보면, '내가 ~에 속하다'류의 표현이니 [in]이 들어갈 것 같습니다. 그리고 어떤 조직이나 행사 등에 참가해 활동을 했다는 표현이니...그래도 어디선가 배웠던 표현이 떠오릅..
7. Javascript 함수 (3) - 함수 프로퍼티 2 이번 아티클에서는 함수의 프로퍼티 중 표준 프로퍼티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함수의 length 프로퍼티 함수 객체가 갖는 표준 프로퍼티인 length는 [함수가 정상적으로 실행될 때 기대되는 인자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아래 예제와 같이 함수 정의 시 선언된 파라미터의 개수를 각각 다르게 하여 각 함수의 length를 출력해 봅시다. function func0() { } function func1(x) { return x; } function func2(x, y) { return x + y; } function func3(x, y, z) { return x + y + z; } console.log(func0.length);// 0 console.log(func1.length);// 1 conso..
"수입이 줄어서 보충하려고 부업을 찾고 있어요." 영어로 표현해 봅시다 바야흐로 부업의 시대입니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들도 한번쯤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수익형 블로그 혹은 기타 여러가지 활동으로 부수입을 올리는 것을 고려해 보셨을 거에요. 오늘은 그런 트렌드에 부합하는 표현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 번 살펴 볼까요? 간혹 매출이 좋지 않아 기존에 예상했던 현금 흐름이 끊긴다든지, 아니면 예상치 못한 지출이나 손실로(주식, 코인...)을 복구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오늘 배울 표현은 바로 이런 "손실에 대한 복구"입니다. 그럼, 아래 문장을 한 번 각자 영어로 표현해 보도록 합시다. "나는 줄어든 수입을 보충해야 해서, 부업을 찾고 있는 중이야." 문장이 다소 긴 것 같지만, 한 번 차근차근 생각해 보도록 합시다. look for, income 등의 단어 정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