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ject Management/Agile Scrum with JIRA

(12)
[Chapter 6] JIRA 스프린트(Sprint) 관리 - (4) 스프린트 리뷰, 스프린트 회고를 해봅시다 별로 한 것도 없는 것 같은데, 어느새 스프린트 종료 단계가 찾아왔습니다. 스프린트 종료 단계에서는 무엇을 수행하며 프로젝트를 마무리할까요? 명확히 분리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지만, 관념적으로는 스프린트 리뷰를 진행한 후 스프린트 회고(Sprint Retrospective)를 진행하게 됩니다. 스프린트 리뷰(Sprint Review) 얼핏 스프린트 회고 단계, 또는 흔히 얘기하는 포스트모템(Postmortem)과 혼용되어 사용될 위험이 있는 단계입니다. 스프린트 리뷰 단계는 말 그대로 현재까지 진행된 스프린트를 점검하고, 스프린트를 제대로 끝냈는지 결론을 내린 후 결과물을 정리하는 단계입니다. 우선은 스프린트 산출물(Increment)들이 정상적으로 만들어졌는지, 누락된 사항은 없는지를 점검해야 합니다...
[Chapter 6] JIRA 스프린트(Sprint) 관리 - (3) 스크럼 미팅이 뭐지? 데일리 스크럼 미팅이란? 데일리 스크럼 미팅은, 스프린트를 진행하는 스크럼 팀이 매일(혹은 일정 주기로) 일정 시간에 모여 진행하는 짧은 미팅입니다. 미팅의 형태는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진행되겠지만, 통상적으로 15분 내외의 시간으로 진행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 미팅을 통해, 스프린트 진행 상황과 업무 진척도를 체크하게 됩니다. 공식적으로 '데일리' 스크럼 미팅으로 명칭이 생겼지만, 실제로 현업 상에서는 매일 진행하기보다는 일주일에 2-3회 정도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기도 합니다. 그럼 이 스크럼 미팅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할까요? 한 번 살펴보도록 합시다. 데일리 스크럼 미팅의 아젠다 중요한 부분입니다. 데일리 스크럼 미팅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미팅의 목적이 무엇인지 / 어떤 내용을..
[Chapter 6] JIRA 스프린트(Sprint) 관리 - (2) 스프린트가 대체 뭐지? 일단 생성해보자 스프린트(Sprint)란 무엇인가? 스프린트(Sprint)는 업무의 단위이자, 스크럼 팀이 수행하는 이벤트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앞선 과정을 통해서 팀부터 프로젝트 성질까지 다양한 요소들을 준비하고 세팅했습니다. 그중 가장 공을 들였던 부분이자 복잡한 단계는 무엇이었을까요? 바로 백로그 아이템 설정이었습니다. 스프린트는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서 설정한 프로덕트 백로그(Product Backlog) 아이템을 구현해내기 위한 스크럼 팀의 이벤트이자 업무 수행 단위입니다. 여기서 스프린트의 중요한 성질을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첫 번째로 스프린트는 제한된 기간(약 2주 ~ 4주) 내에 수행하며, 스프린트 단위로 반복적인 수행이 예정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전통적인 업무 방식과의 업..
[Chapter 6] JIRA 스프린트(Sprint) 관리 - (1) 스프린트 사전 계획 스프린트를 준비해 봅시다 이번 챕터에서는, 본격적으로 스프린트(Sprint)를 준비하고 수행하는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다루어 볼 예정입니다. 사실 스프린트는 어렴풋이 일감을 쪼개 단위를 만들고,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수행하여 완료하는 과정을 거친다는 것을 알고 계실 것입니다. 하지만 애자일 스크럼 프레임워크의 주요 업무 수행 단위 개념인 만큼, 알아두어야 할 내용도 많고 본인이 PO이거나 스크럼 마스터 포지션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면 디테일한 체계를 익혀둘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 오신 여러분들이 JIRA 안에서 [스프린트 생성] / [스프린트 완료] 버튼 클릭하는 법을 몰라서 오신 것이 아니기 때문이죠(^^;) 이번 챕터의 아티클들을 통해서 '프로젝트, 그리고 프로덕트를 관리하는 사람'으로서 가져야 할..
[Chapter 5] JIRA에서 자원, 인원 관리하기 자원의 개념 살펴보기 팀원 구성(초대)와 팀 빌딩의 경우, 기능 자체는 간단하기 때문에 이번 아티클에서는 자원과 인원 관리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소 재미없는 내용으로 여겨질 수도 있지만, 한 번쯤은 이론적으로 개념을 잡아야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자원(Resource) - 자원은 프로젝트 수행 시 필요한 인력 / 재료 / 비용 자원을 의미합니다. - 투입된 개별 자원의 항목과 비용을 정리하면 해당 프로젝트에 투입된 총 비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원의 종류 구분 [인력]은 투입된 시간이 큰 영향을 미치는 자원으로서, 기본 단가를 명시해 비용을 관리해야 합니다. 관리 구분에 있어서 일반 자원(generic resource) / 비일반 자원(specific reso..
[Chapter 4] JIRA에서 백로그 작성하기 - 백로그(Backlog)가 뭐야?(하) 백로그를 실제로 등록해 봅시다 우리는 앞선 상편 아티클에서 '백로그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나름대로 깊게 살펴보았습니다. 사실 개념을 살펴보는 것은 언제나 그렇듯 머리아픈 일이긴 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JIRA 안에서 실행해보지 않으면 금방 잊어버리겠죠? 함께 실습해 보도록 합시다. JIRA에서의 백로그 등록 프로세스 우선 아래의 이미지 처럼, 프로젝트에서 백로그 메뉴를 클릭하면 수행해야 할 사항을 등록할 수 있는 영역이 나옵니다. 또는, 메뉴 최상단에 있는 [만들기] 버튼을 통해서도 생성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슈 유형을 선택하는 박스가 등장합니다. "버그"는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만, 사실 "스토리"와 "작업"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 지는 조금 헷갈립니다. 이 ..
[Chapter 4] JIRA에서 백로그 작성하기 - 백로그(Backlog)가 뭐야?(상) 대체 그놈의 백로그(Backlog)가 뭔데? 우연히 어떤 분에게 백로그가 무엇인지, 설명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나름대로 그 개념을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드렸는데, 돌아오는 질문이 "그래서 요구사항이란거죠?" 였습니다.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대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애초에 이 분은 애자일 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전혀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뭐 이리 간단한 개념을 어렵게 설명하지?'라는 의문이 들 수밖에 없었을 겁니다. 혹시 이 글을 읽는 분들 중에서도 JIRA도 처음 써보고, 구글에 [백로그 뜻]만 단편적으로 검색해서 보시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만일 그렇다면 백로그 개념이 이해가 안 가는 것도 당연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단어의 정의를 한 번에 풀이해서 이해하시기 보다는..
[Chapter 3] JIRA에서 로드맵 작성하기 - 대체 에픽(Epic)이 뭐야? 로드맵(Roadmap)이란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했으면,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정의하는 것입니다. 의외로 이 단계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사실 PO라면 PM과 함께 이 로드맵을 머리속에 이미 그려두어야 합니다. 지금 이 아티클에서 설명하는 로드맵 작성 과정은, 자신의 머리속에 정리된 것을 스크럼 팀원과 공유하기 위한 정리 과정이지, 실제로 목표를 세우는 과정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기본적으로 로드맵의 정의는, 본 스크럼 프레임워크에서 프로덕트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이 어떻게 제품에 적용되며 개발되는지 타임라인에 따라 시각화한 것을 의미합니다. 로드맵 구성 요소 로드맵은 단일 요소가 아니라, 프로덕트 구현 단계에서의 요구사항의 분해수준에 따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