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467) 썸네일형 리스트형 람다식(5) - 메서드 참조 2 : 정적 메서드, 인스턴스 메서드 참조 앞서 살펴본 메서드 참조의 개념을 활용해서 정적(static) 메서드를 참조하는 경우와 인스턴스 메서드를 참조하는 경우를 각각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람다식(5) - 메서드 참조 1 : 메서드 참조의 개념 메서드 참조(Method References)의 개념은, 메서드를 참조해서 파라미터의 정보와 리턴 타입을 알아낸 다음 람다식에서 불필요한 파라미터를 제거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즉, 생략할 수 있는 것은 생 nozeroslope.tistory.com // 정적 메서드 참조 클래스 :: 메서드 // 인스턴스 메서드 참조. 객체를 먼저 생성한다. 참조변수 :: 메서드 위의 케이스에 대해서는 예제를 통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alculator라는 클래스에서 정적 / 인스턴스 메서드를 각각 선언하고 이를 .. 람다식(5) - 메서드 참조 1 : 메서드 참조의 개념 메서드 참조(Method References)의 개념은, 메서드를 참조해서 파라미터의 정보와 리턴 타입을 알아낸 다음 람다식에서 불필요한 파라미터를 제거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즉, 생략할 수 있는 것은 생략한다는 의미죠. 예를 들어 살펴보겠습니다. Math 클래스의 max( )라는 정적 메서드는 두 개의 값을 받아 큰 수를 리턴하는 메서드입니다. 이를 람다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eft, right) -> Math.max(left, right); 지금 두 개의 파라미터 인자 값을 Math.max( ) 메서드의 파라미터로 단순히 전달만 하는 상황입니다. 단순한 상황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축약해서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Math :: max; 위와 같은 방식을 '메서드 참조'라고 표현합니다.. [CSS] 8. 트랜지션과 애니메이션(2) - transition(트랜지션) 2 앞서 살펴본 내용에 이어서, CSS3의 트랜지션 속성들에 대해서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SS] 8. 트랜지션과 애니메이션(2) - transition(트랜지션) 1 트랜지션(transition)이란 웹의 요소 스타일 속성이 시간에 따라 바뀌는 것을 의미합니다. 앞서 배웠던 transform에서의 단순한 형태나 속성 변화와 달리, 실제 애니메이션처럼 색상이 자연스럽게 변 nozeroslope.tistory.com (3) transition-timing-function : 트랜지션 속도의 곡선 지정 transition-timing-function 속성을 통해서는 트랜지션 효과가 적용되는 시작 / 중간 / 끝 지점에서의 속도를 지정하여 전체 속도 곡선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미리 정해진 키워드, 혹은 .. 람다식(4) - 표준 API의 함수적 인터페이스 9 : minBy(), maxBy() 정적 메서드 Operator 함수적 인터페이스 중 하나인 BinaryOperator는 minBy( ), maxBy( )라는 정적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이 두 개의 메서드는 리턴 타입이 BinaryOperator 입니다. 아래와 같이 해당 메서드 minBy( )와 maxBy( )는 파라미터로 Comparator를 받게 되고, 이를 이용해서 최대 T 또는 최소 T를 얻는 BinaryOperator를 리턴하는 구조입니다. 리턴 타입 정적 메서드 BinaryOperator minBy(Comparator [CSS] 8. 트랜지션과 애니메이션(2) - transition(트랜지션) 1 트랜지션(transition)이란 웹의 요소 스타일 속성이 시간에 따라 바뀌는 것을 의미합니다. 앞서 배웠던 transform에서의 단순한 형태나 속성 변화와 달리, 실제 애니메이션처럼 색상이 자연스럽게 변하거나 사각형이 원형으로 테두리 색상과 함께 변신하듯이 부드럽게 변화하는 것을 예시로 들 수 있겠네요. ○ 트랜지션의 속성들 기본적으로 CSS3의 트랜지션을 실행할 때는, 여러 가지 속성 값을 설정해줘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다섯 개의 트랜지션 속성이 존재하는데, 하나씩 세부적으로 어떤 성격을 갖는 속성인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종류 설명 transition-property 트랜지션의 대상을 지정합니다. transition-duration 트랜지션을 실행할 시간을 지정합니다. transition-.. 람다식(4) - 표준 API의 함수적 인터페이스 8 : 디폴트 메서드 and(), or(), negate() 그리고 정적 메서드 isEqual() 2 앞서서 우리는 Predicate 함수적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디폴트 메서드 and( ), or( ), negate( )를 살펴보았습니다. 람다식(4) - 표준 API의 함수적 인터페이스 8 : 디폴트 메서드 and(), or(), negate() 그리고 정적 메서드 이번 아티클에서는 우리가 배웠던 함수적 인터페이스 중 Predicate 함수적 인터페이스의 내용을 살펴봅니다. boolean 리턴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했었던 것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xxxTest() 추상 메서드 nozeroslope.tistory.com 그런데 Predicate 함수적 인터페이스는 디폴트 메서드 외에 정적 메서드 isEqual( ) 메서드를 추가로 제공합니다. 다소 헷갈릴 수 있는 개념이자 사용법을 갖고 있는데, 간단하게 사.. [CSS] 8. 트랜지션과 애니메이션(1) - transform(변형) 4 앞에서 살펴본 rotate( ) 함수와 관련해, 3D 회전의 예제도 좀 더 살펴보겠습니다. [CSS] 8. 트랜지션과 애니메이션(1) - transform(변형) 3 앞서 살펴본 transform 속성의 함수들을 이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SS] 8. 트랜지션과 애니메이션(1) - transform(변형) 2 앞서서 우리는 CSS에서 사용되는 transform 속성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살펴 nozeroslope.tistory.com 아래 예제에서는 마우스 포인터를 올리면 x축, y축, z 축으로 각각 60도씩 회전(각각의 축에 방향벡터를 지정하고 60도 회전)하고, 여기에 트랜지션 효과까지 적용했습니다. 트랜지션은 추후 아티클에서 다룰 예정입니다. 앞서서 설명했던 perspective 속성은, 각.. 람다식(4) - 표준 API의 함수적 인터페이스 8 : 디폴트 메서드 and(), or(), negate() 그리고 정적 메서드 isEqual() 1 이번 아티클에서는 우리가 배웠던 함수적 인터페이스 중 Predicate 함수적 인터페이스의 내용을 살펴봅니다. boolean 리턴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했었던 것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xxxTest() 추상 메서드도 기억나시나요? 잊었다면 다시 복습하고 내용을 상기해 보도록 합시다. 람다식(4) - 표준 API의 함수적 인터페이스 6 : Predicate Functional Interface Predicate 함수적 인터페이스는, 파라미터의 값을 조사하여 boolean 값을 리턴하는 메서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 testXXXX( ) 형태의 메서드이죠. 이 인터페이스의 추상 메서드들도 한번 아래와 같 nozeroslope.tistory.com 함수적 인터페이스 Predicate에도 디폴트 메서드와 정적..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