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

(477)
람다식(5) - 메서드 참조 3 : 파라미터의 메서드 참조 우리가 참조하게 되는 메서드의 경우, 람다식 외부의 어떤 클래스의 멤버일 수도 있으며 람다식에서 제공되는 파라미터의 멤버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앞서 살펴본 아티클에서는 람다식 외부의 클래스 멤버인 메서드를 호출하는 경우를 살펴보았습니다. 람다식(5) - 메서드 참조 2 : 정적 메서드, 인스턴스 메서드 참조 앞서 살펴본 메서드 참조의 개념을 활용해서 정적(static) 메서드를 참조하는 경우와 인스턴스 메서드를 참조하는 경우를 각각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람다식(5) - 메서드 참조 1 : 메서드 참조의 nozeroslope.tistory.com 이번에는 람다식 자체에서 제공되는 파라미터의 메서드를 호출해서 다른 파라미터를 인자 값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를 테면 파라미터 a의 메서드를 호출..
[CSS] 8. 트랜지션과 애니메이션(3) - animation 속성 1 CSS3에서는 앞서 배웠던 transition(트랜지션)을 통해서도 여러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지만, animation(애니메이션) 속성을 활용해서도 자바스크립트 없이 더 쉽게 애니메이션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animation속성을 구현하는 구조는 약간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우선, 어떤 요소에서 애니메이션을 구현할 때 해당 요소에서 기본적인 애니메이션의 속성을 transition과 비슷한 형태로 선언합니다. 그리고, animation 속성의 고유한 특징인 "key frames(키 프레임)"을 사용해 중간에 스타일이 바뀌는 지점을 따로 정의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구조를 설명해 볼까요? 요소 중 'box'가 있고 해당 box라는 요소의 속성과 적용하고자 하는 애니메이션이 아래와 같다고 가정해 ..
람다식(5) - 메서드 참조 2 : 정적 메서드, 인스턴스 메서드 참조 앞서 살펴본 메서드 참조의 개념을 활용해서 정적(static) 메서드를 참조하는 경우와 인스턴스 메서드를 참조하는 경우를 각각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람다식(5) - 메서드 참조 1 : 메서드 참조의 개념 메서드 참조(Method References)의 개념은, 메서드를 참조해서 파라미터의 정보와 리턴 타입을 알아낸 다음 람다식에서 불필요한 파라미터를 제거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즉, 생략할 수 있는 것은 생 nozeroslope.tistory.com // 정적 메서드 참조 클래스 :: 메서드 // 인스턴스 메서드 참조. 객체를 먼저 생성한다. 참조변수 :: 메서드 위의 케이스에 대해서는 예제를 통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alculator라는 클래스에서 정적 / 인스턴스 메서드를 각각 선언하고 이를 ..
람다식(5) - 메서드 참조 1 : 메서드 참조의 개념 메서드 참조(Method References)의 개념은, 메서드를 참조해서 파라미터의 정보와 리턴 타입을 알아낸 다음 람다식에서 불필요한 파라미터를 제거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즉, 생략할 수 있는 것은 생략한다는 의미죠. 예를 들어 살펴보겠습니다. Math 클래스의 max( )라는 정적 메서드는 두 개의 값을 받아 큰 수를 리턴하는 메서드입니다. 이를 람다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eft, right) -> Math.max(left, right); 지금 두 개의 파라미터 인자 값을 Math.max( ) 메서드의 파라미터로 단순히 전달만 하는 상황입니다. 단순한 상황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축약해서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Math :: max; 위와 같은 방식을 '메서드 참조'라고 표현합니다..
[CSS] 8. 트랜지션과 애니메이션(2) - transition(트랜지션) 2 앞서 살펴본 내용에 이어서, CSS3의 트랜지션 속성들에 대해서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SS] 8. 트랜지션과 애니메이션(2) - transition(트랜지션) 1 트랜지션(transition)이란 웹의 요소 스타일 속성이 시간에 따라 바뀌는 것을 의미합니다. 앞서 배웠던 transform에서의 단순한 형태나 속성 변화와 달리, 실제 애니메이션처럼 색상이 자연스럽게 변 nozeroslope.tistory.com (3) transition-timing-function : 트랜지션 속도의 곡선 지정 transition-timing-function 속성을 통해서는 트랜지션 효과가 적용되는 시작 / 중간 / 끝 지점에서의 속도를 지정하여 전체 속도 곡선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미리 정해진 키워드, 혹은 ..
람다식(4) - 표준 API의 함수적 인터페이스 9 : minBy(), maxBy() 정적 메서드 Operator 함수적 인터페이스 중 하나인 BinaryOperator는 minBy( ), maxBy( )라는 정적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이 두 개의 메서드는 리턴 타입이 BinaryOperator 입니다. 아래와 같이 해당 메서드 minBy( )와 maxBy( )는 파라미터로 Comparator를 받게 되고, 이를 이용해서 최대 T 또는 최소 T를 얻는 BinaryOperator를 리턴하는 구조입니다. 리턴 타입 정적 메서드 BinaryOperator minBy(Comparator
[CSS] 8. 트랜지션과 애니메이션(2) - transition(트랜지션) 1 트랜지션(transition)이란 웹의 요소 스타일 속성이 시간에 따라 바뀌는 것을 의미합니다. 앞서 배웠던 transform에서의 단순한 형태나 속성 변화와 달리, 실제 애니메이션처럼 색상이 자연스럽게 변하거나 사각형이 원형으로 테두리 색상과 함께 변신하듯이 부드럽게 변화하는 것을 예시로 들 수 있겠네요. ○ 트랜지션의 속성들 기본적으로 CSS3의 트랜지션을 실행할 때는, 여러 가지 속성 값을 설정해줘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다섯 개의 트랜지션 속성이 존재하는데, 하나씩 세부적으로 어떤 성격을 갖는 속성인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종류 설명 transition-property 트랜지션의 대상을 지정합니다. transition-duration 트랜지션을 실행할 시간을 지정합니다. transition-..
람다식(4) - 표준 API의 함수적 인터페이스 8 : 디폴트 메서드 and(), or(), negate() 그리고 정적 메서드 isEqual() 2 앞서서 우리는 Predicate 함수적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디폴트 메서드 and( ), or( ), negate( )를 살펴보았습니다. 람다식(4) - 표준 API의 함수적 인터페이스 8 : 디폴트 메서드 and(), or(), negate() 그리고 정적 메서드 이번 아티클에서는 우리가 배웠던 함수적 인터페이스 중 Predicate 함수적 인터페이스의 내용을 살펴봅니다. boolean 리턴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했었던 것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xxxTest() 추상 메서드 nozeroslope.tistory.com 그런데 Predicate 함수적 인터페이스는 디폴트 메서드 외에 정적 메서드 isEqual( ) 메서드를 추가로 제공합니다. 다소 헷갈릴 수 있는 개념이자 사용법을 갖고 있는데, 간단하게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