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Android

1.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기본 환경 구축 (1)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기본적으로 프로젝트(Project)단위로 워크스페이스를 생성합니다. 그리고 앱 별 단위는 모듈(Module)이며, 이 모듈을 묶어서 관리하는 단위가 프로젝트입니다. 우선 프로젝트와 모듈(앱)의 단위를 잘 기억해 둡시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액티비티 템플릿을 선택하게 됩니다. 우리는 지금 간단한 예제를 처음으로 만들어보는 것이 목적이므로 Empty Activity를 선택해 진행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프로젝트의 속성들을 결정하게 됩니다. 일단, 프로젝트의 명칭은 [AndroidLab]으로 지정했고, Package Name도 지정합니다. 프로젝트 파일이 저장될 경로(location)도 지정하고 언어는 JAVA로 설정합니다. 원한다면 Kotlin이 선택 가능합니다. 

 

그리고 Minimum SDK를 지정합니다. 여기서는 Android 5.0(API 20)으로 지정했습니다. 만일 최소 지원 SDK 설정에 기준이 필요하다면, [Help me choose]를 클릭합니다. 

 

 

 

아래 OS 버전 별 점유율을 참고하여 지정합니다. 

 

 

 

 

자, 이제 우리가 지정한 AndroidLab이라는 프로젝트 하위에, 자동으로 [app]이라는 모듈이 만들어졌습니다. 그리고 이 모듈에는 "Hello World!"를 출력하는 샘플이 구현되어 있죠. 현 단계에서는 이 프로젝트와 모듈의 레벨 구조 정도만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면 됩니다. 

 

 

 


 

 

○ AVD(Android Virtual Device) 활용하기

 

이제 AVD 세팅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앞으로 작성한 예제를 가상 디바이스에서 실행해 결과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죠. 우선 우측 상단의 [AVD Manager]를 실행합니다.

 

 

 

 

그리고 디바이스 종류를 선택해 줍니다. 여기서는 Pixel 5를 선택해 보았습니다. 

 

 

이제 System Image 선택 메뉴가 등장합니다. 여기서 보면 OS 버전이 나열되어 있고, 각 버전에 Download 링크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일단 여기서 선택하는 시스템 이미지(OS)가 앞서 선택한 가상 디바이스 하드웨어에 설치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Download 링크가 표시되는 OS는 아직 설치가 되지 않은 이미지이기 때문에, 설치를 진행해야 합니다. 참고로 약 1GB 수준이니, 불필요한 OS 이미지를 설치할 필요는 없습니다. 여기서는 Q(Android OS 10)을 설치했습니다. 

 

참고로 Recommended 탭이 아닌 x86 Images 탭에서는 하드웨어 가속을 사용하는 OS이미지, Other Images 탭에서는 하드웨어 가속을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를 보여줍니다. 하드웨어 가속을 사용하지 않으면 너무 느리기 때문에 사실상 의미가 없으니 우선은 추천 이미지를 사용합니다.

 

이제 AVD 명칭과 여러 가지 설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우선 디폴트 값으로 저장하고 완료하겠습니다. 

 

 

 

자, 이제 해당 프로젝트에서 우리가 저장한 AVD로 예제를 실행이 가능합니다. 왼쪽 [app]은 우리가 실행할 모듈(앱)을 의미하고 우측에 우리가 방금 만든 [Pixel 5 API 29]가 선택되어 있습니다. 우측의 실행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가상 디바이스가 실행됩니다.

 

 

 

 

이렇게 테스트로 실행한 이후 앱 리스트를 보면 우리가 만든 모듈(앱)이 설치되어 있는 것도 확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