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477) 썸네일형 리스트형 5. http 모듈로 서버 만들기 (2) - REST와 라우팅 [5] 앞선 아티클에서 작성하던 RESTful 서버 구현 예제를 이어서 계속 진행해 보겠습니다. [restFront.css]a { color: blue; text-decoration: none;} [restFront.html] home about 등록하기 [restFront.js] // 로딩 시 사용자 정보를 가져오는 함수async function getUser() { try { const res = await axios.get('/users'); const users = res.data; const list.. 5. http 모듈로 서버 만들기 (2) - REST와 라우팅 [4] 앞선 아티클에서 작성한 RESTful 서버 구현 예제를 이어서 진행해 보겠습니다. [restFront.css]a { color: blue; text-decoration: none;} [restFront.html] home about 등록하기 [restFront.js] // 로딩 시 사용자 정보를 가져오는 함수async function getUser() { try { const res = await axios.get('/users'); const users = res.data; const list .. 5. http 모듈로 서버 만들기 (2) - REST와 라우팅 [3] 앞선 아티클에서 우리가 RESTful로 구현할 서버의 구조를 설계해 보았습니다. 5. http 모듈로 서버 만들기 (2) - REST와 라우팅 [2]앞선 아티클에서 REST의 기본적인 개념과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자원의 주소와 HTTP 요청 메서드를 통해서 해당 요청의 내용을 대략 추측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5. http 모듈로 서버nozeroslope.tistory.com HTTP 메서드주소역할GET/restFront.html 파일 제공 GET /aboutabout.html 파일 제공 GET /users사용자 목록 제공 GET 기타기타 정적 파일 제공POST/user사용자 등록PUT/user/사용자id해당 id의 사용자 수정DELETE/user/사용자id해당 id의 사용자 삭제 .. 5. http 모듈로 서버 만들기 (2) - REST와 라우팅 [2] 앞선 아티클에서 REST의 기본적인 개념과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자원의 주소와 HTTP 요청 메서드를 통해서 해당 요청의 내용을 대략 추측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5. http 모듈로 서버 만들기 (2) - REST와 라우팅 [1]REST는 생각보다 자주 듣게되는 용어인데, 의미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입니다. 용어를 기반으로 해석하면 다소 추상적인데, 결과적으로 특정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의 주소를 지정하는 프로nozeroslope.tistory.com 여기서 주소와 요청 메서드를 다룰 때 하나 기억해야 할 사실이 있습니다. 바로 하나의 주소(/users, /post....)는 여러 개의 요청 메서드를 가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GET .. 5. http 모듈로 서버 만들기 (2) - REST와 라우팅 [1] REST는 생각보다 자주 듣게되는 용어인데, 의미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입니다. 용어를 기반으로 해석하면 다소 추상적인데, 결과적으로 특정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의 주소를 지정하는 프로토콜 전반을 의미한다고 보면 됩니다.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는 html 파일 혹은 css나 js, 이미지 파일을 요청하게 됩니다. 이러한 요청의 내용이 주소를 통해 표현하게 되는 것이죠. 1. 자원(Resource) - HTTP URI 여기서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주소는 /user, 혹은 /post와 같은 의미를 추론하기 쉬운 명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말 그대로 요청하는 주소가 /index.html이면 index.htm을 보내달라는 의미입니다. /about.html이면 ab.. 5. http 모듈로 서버 만들기 (1) - 요청과 응답 [4] 앞선 아티클에서 우리는 주로 res.writeHead와 같은 메서드를 사용해 HTML 태그를 일일이 작성했습니다. 지금까지야 예시를 위해서 그렇게 작성해 왔지만, 매우 비효율적이죠. 지금부터는 HTML 파일을 실제로 작성하고, 해당 파일을 보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해당 HTML 파일은 fs 모듈로 읽어서 전송하게 됩니다. 아래 예제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참고로 fs 모듈에서 우리가 이미 살펴보았던 promise 방식을 사용하니, 헷갈리는 부분이 있다면 아래 아티클을 참고하세요. 4. Node 기능 살펴보기 (5) - 파일 시스템 접근하기 [fs] 2앞선 아티클에서 살펴보았듯이, fs 모듈은 콜백을 중심으로 구현되는 모듈입니다. 익숙한 형태이지만, 콜백 중심의 형식은 다소 사용하기 불편한 감이 있.. 5. http 모듈로 서버 만들기 (1) - 요청과 응답 [3] 앞선 아티클에서 createServer( ) 메서드를 사용하면서 listen( ) 메서드를 이용해 포트 번호를 열고, 여기에 콜백 함수를 선언했었습니다. const http = require('http');http.createServer((req, res) =>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res.write('Hello World'); res.end('Hello Server');}) .listen(8080, () => { console.log('8080번 포트 서버 대기 중'); });/* 출력8080번 포트 서버 대기 중*/ 이번에는 여기에서 listen 메서드에 .. 5. http 모듈로 서버 만들기 (1) - 요청과 응답 [2] 앞서서 살펴본 예제를 다시 한번 자세히 확인해 보겠습니다. const http = require('http');http.createServer((req, res) => { res.writeHead(200,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res.write('Hello World'); res.end('Hello Server');}) .listen(8080, () => { console.log('8080번 포트 서버 대기 중'); });/* 출력8080번 포트 서버 대기 중*/ 우선 createServer 메서드 뒤에 listen 메서드를 붙입니다. 여기서는 클라이언트에 공개할 포트 번호를 작성하고 포트 연결이 완..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