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477) 썸네일형 리스트형 7. 익스프레스 (1) - express 기본 [2] 앞선 아티클에서 express 모듈의 기본적인 사용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었습니다. 이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7. 익스프레스 (1) - express 기본 [1]앞서서 살펴보았던 http 모듈의 사용과 관련해서, 요청 메서드와 주소에 따라서 응답을 보내는 예제를 작성했던 것을 기억하실 겁니다. 5. http 모듈로 서버 만들기 (2) - REST와 라우팅 [5]앞선 아nozeroslope.tistory.com [app.js] const express =require('express');const app = express();app.set('port', process.env.PORT || 3000);app.get('/', (req, res) => { res.send('Hello, .. 7. 익스프레스 (1) - express 기본 [1] 앞서서 살펴보았던 http 모듈의 사용과 관련해서, 요청 메서드와 주소에 따라서 응답을 보내는 예제를 작성했던 것을 기억하실 겁니다. 5. http 모듈로 서버 만들기 (2) - REST와 라우팅 [5]앞선 아티클에서 작성하던 RESTful 서버 구현 예제를 이어서 계속 진행해 보겠습니다. [restFront.css]a { color: blue; text-decoration: none;} [restFront.html] home about 등록하기 [restFront.js] // 로딩 시 사용nozeroslope.tistory.com 이 때 요청 메서드와 주소에 따라서 if문을 중첩하여 사용했습니다. 익스프레스 프레임워크는,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고 http 모듈의 요청/응답 객체에 여러가지.. 6. 패키지 매니저 (1) - npm [7] ○ 버전 표시 옵션 버전 표기에는 옵션이 존재합니다. 앞서 package.json에서 볼 수 있었던 SemVer 버전 앞에 '^'가 붙어있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예입니다.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인데, 이는 마이너 버전까지만 설치/업데이트를 한다는 의미입니다. npm i express@^1.1.1이라면, 1.1.1 이상 2.0.0 미만 버전까지 설치됩니다(2.0.0은 설치되지 않음). 헷갈리면 1.x.x로 기억하세요. ~는 패치 버전까지만 설치한다는 의미입니다. npm i express@~1.1.1이라면, 1.1.1 이상 1.2.0 미만까지 설치됩니다(1.2.0은 설치되지 않음). 역시 1.1.x로 기억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마이너 버전의 경우 대부분 하위 호환.. 6. 패키지 매니저 (1) - npm [6] ○ patch-package 간혹 설치한 패키지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node_modules 내부 피키지를 수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단, 이 경우에는 npm i를 실행하게 될 경우 직접 수정한 내용이 초기화 된다는 약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node_modules 내부의 수정 사항을 영구적으로 반영해주는 patch-package 패키지가 있습니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package.json을 아래와 같이 수정하고나서 patch-package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scripts": { "test": "echo \"Error: no test specified\" && exit 1", "postinstall": "patch-package" }, .. 6. 패키지 매니저 (1) - npm [5] npm에는 전역(global) 설치 옵션이 존재합니다. 지금까지 모듈을 설치하였을 경우 프로젝트 폴더 내의 [node_modules] 폴더에 해당 패키지들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전역 설치를 진행할 경우, 이는 node_modules가 아닌 npm이 설치된 폴더에 설치를 진행하게 됩니다. 윈도우의 경우 기본 경로는 C:\Users\사용자명\AppData\Roaming\npm이고 맥의 경우는 /usr/local/lib/node_modules가 됩니다. 보통 이 경로는 환경변수에 등록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역 설치를 진행한 패키지는 콘솔에서 명령어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즉, '패키지를 모든 곳에서 사용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대부분 명령어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죠. 그럼 rim.. 6. 패키지 매니저 (1) - npm [4] 앞서서 간단히 npm 모듈을 설치해 보았는데, 이번에는 모듈 여러개를 동시에 설치해 보겠습니다. npm install [패키지1] [패키지2] [...] 형태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C:\>npm install morgan cookie-parser express-sessionadded 11 packages, and audited 76 packages in 5s12 packages are looking for funding run `npm fund` for detailsfound 0 vulnerabilities 위와 같이 설치한 후, package.json을 살펴보겠습니다. dependencies에 설치한 패키지들의 속성이 추가로 기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name": "npmtest.. 6. 패키지 매니저 (1) - npm [3] 이제부터 실제로 패키지 설치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우선 익스프레스(Express)를 설치할텐데, 기본적으로 패키지 설치 방식은 npm install [패키지 이름] 입니다. 참고로 명령어는 package.json이 있는 폴더에서 진행합니다. C:\>npm install expressadded 64 packages, and audited 65 packages in 6s12 packages are looking for funding run `npm fund` for detailsfound 0 vulnerabilities 위와 같이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 package.json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package.json]{ "name": "npmtest", "version": "0.0... 6. 패키지 매니저 (1) - npm [2] 우선 npm init을 실행했을 때 볼 수 있는 입력 값들의 종류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package name: (npmexample) npmtestversion: (1.0.0) 0.0.1description: hello package.jsonentry point: (index.js)test command:git repository:keywords:author: johndoelicense: (ISC)... package name : 패키지 이름으로, package.json의 "name" 속성 값이 됩니다.version : 패키지 버전입니다. 별도로 살펴보겠습니다.entry point : 자바스크립트 ㅅ실행 파일의 진입점입니다. 일반적으로 module.exports를 하는 파일을 지정합니다. "m..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