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2. JOIN을 이용한 데이터 조합 - (8) 그룹화 : GROUP BY & HAVING 1
이번 아티클에서는 본격적으로 GROUP BY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설명하기 위한 샘플 테이블을 아래 예시와 같이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create table sample00 ( no int primary key, name varchar (255), quantity int ); insert into sample00( no, name, quantity ) values (1, 'A', 1), (2, 'A', 2), (3, 'B', 10), (4, 'C', 3), (5, null, null); select * from sample00; 위 쿼리를 통해서 아래와 같은 테이블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 테이블을 기준으로 GROUP BY에 대해서 설명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
Chapter 2. JOIN을 이용한 데이터 조합 - (5) CROSS JOIN
이번 아티클에서는 CROSS JOIN을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CROSS JOIN은 또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해를 하고 넘어가야겠죠. 100% 정확한 학술적 정의는 아니지만, 간단히 말해서 '곱집합'의 형태인 catesian product 연산을 구현합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테이블이 있을 경우, 각각의 값들이 모두 매치되는 경우의 수를 전부 표현하게 되는 것이죠. 만일 2명의 사람 A, B가 있고 색깔이 3개가 있다면 - 두 사람과 3개의 색상을 매칭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A, 빨강) (A, 파랑) (A, 노랑) (B, 빨강) (B, 파랑) (B, 노랑)의 형태로 6개가 나오겠죠? CROSS JOIN 역시 이러한 케이스를 테이블에서 연산하게 됩니다. 간단한 CROSS JOIN 실습을 위해, 아래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