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선 아티클에서 우리는 태그(명령어)를 설정했습니다. 이제, 이 과정을 통해서 트리거를 설정해야 하는 단계가 되었습니다. 트리거를 설정하면서 동시에 변수(적용 대상)를 지정하게 되니, 자연스럽게 전체적인 과정을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4. GA4 이벤트 생성(2) - 인터랙션 이벤트 설정 4 : 태그와 GA4 연동
이제 본격적으로 인터랙션 데이터 생성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우선 태그 관리자의 메뉴 구조를 살펴보면서, 기본적인 태그 시스템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GTM 워크스페이스에는 개요 / 태그 / 트
nozeroslope.tistory.com
우선 우리가 생성한 이벤트 태그에서 [트리거]를 선택해 하나씩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리거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트리거 리스트가 등장합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로 보이는 "All Pages"(페이지뷰)를 선택한다고 가정하면 - 모든 대상 페이지를 조회만 하면 [click_btn_heart]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 버튼을 클릭해 트리거 유형을 불러오도록 합시다.

우리가 현재 만드는 이벤트는 '하트(좋아요) 버튼을 클릭한다'는 동작을 트리거로 합니다. 그러므로 유형 중 [클릭] > [모든 요소]를 선택합니다. 참고로, [링크만]의 경우는 어떤 URL 링크를 클릭하는 경우를 뜻하므로 [모든 요소]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번역이 오묘해서 그런 것이므로 의미를 혼동해서는 안됩니다.

이제 해당 트리거의 이름을 붙여 보겠습니다. "하트버튼 클릭 트리거"로 이름을 정하고, 향후 트리거를 지정할 때 이 이름으로 지정하게 됩니다. 이제 클릭에 있어서 [모든 클릭] 또는 [일부 클릭]을 선택하게 됩니다. 여기서 [모든 클릭]을 선택하게 되면, 정말 말 그대로 해당 웹 사이트에서 아무 공백이라도 '클릭'만 하면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특정 영역이나 버튼을 클릭하는 것으로 한정하기 위해서는 [일부 클릭]을 선택해야 합니다.

[일부 클릭] 선택 시 condition을 설정하는 메뉴가 출력됩니다. 이는, 간단히 말해서 일종의 K, V 설정입니다. 우리는 여기서 "웹 사이트의 특정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를 선택하려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이런 경우에는 태그 내 class를 기반으로 이벤트를 측정하게 됩니다.
실제로 실습에 사용 중인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좋아요(하트) 버튼의 class를 확인해 봅시다. 해당 하트 버튼의 class는 ico_postbtn ico_like로 확인됩니다.

이제 class 명이 확인되었으니, 유형에서 [기본 제공 변수 선택] > [Click Classes]를 선택해 줍니다.

이제 여기서는 (필요에 따라)ico_like를 포함하는 경우로 이벤트 트리거를 선언해 두었습니다.

이제 아래와 같이 모든 이벤트 선언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정석대로라면 미리보기미리 보기 후 배포 릴리즈 진행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미리 보기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도 어느 정도 추가 지식이 필요한 만큼, 추후 살펴보기로 하고 일단 [제출]을 클릭해서 바로 라이브에 릴리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작업공간의 변경사항 수 : 4"로 표시되고 있는데, 이 상태는 네 개의 변경사항이 적용되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제출을 완료해 정상적으로 새 버전이 적용되면 0으로 변경됩니다.

아래와 같이 제출을 통해 새로운 버전을 생성하고 히스토리를 남깁니다. 초기 버전이 1 이었으므로 이 버전은 2가 되겠네요. 버전 명과 설명은 실무에서는 굳이 작성하지 않아도 크게 문제는 되지 않습니다.

아래와 같이 버전의 정보가 요약되어 제공됩니다. 꼼꼼히 확인해 봅시다.

이제는 디버그 뷰를 ON 상태에서 해당 좋아요(하트) 버튼을 클릭해보고, 실제로 이벤트가 들어오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참고로 이때 브라우저의 캐시를 지우고 나서 확인하는 게 안전합니다(캐시 된 이미지 및 파일만 삭제).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우리가 선언한 트리거는 해당 클래스의 버튼을 '클릭'하는 것이므로, 만일 클릭을 해서 좋아요 버튼을 누른 뒤 바로 다시 눌러서 취소를 하게 되면 해당 이벤트는 2회 발생한 것으로 측정됩니다. 하지만, 실제로 좋아요는 안 눌린 상태가 된다. 즉 - 좋아요 버튼 클릭 이벤트 발생 횟수와 '좋아요'를 받은 수가 동일하지는 않다는 것입니다.
'Data Literacy > Google Analy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GA4 이벤트 설계 방법(1) - 이벤트 설계 기본 이론 (1) | 2023.10.13 |
---|---|
4. GA4 이벤트 생성(2) - 인터랙션 이벤트 설정 5 : 트리거 설정 [2/2] (0) | 2023.10.10 |
4. GA4 이벤트 생성(2) - 인터랙션 이벤트 설정 4 : 태그와 GA4 연동 (0) | 2023.10.08 |
4. GA4 이벤트 생성(2) - 인터랙션 이벤트 설정 3 : GTM Interface Review (0) | 2023.10.08 |
4. GA4 이벤트 생성(2) - 인터랙션 이벤트 설정 2 : GTM 삽입하기 (0) | 202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