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TML

(29)
[CSS] 5. 배경 이미지와 그라데이션(1) - background color & clip ○ background-color 속성 : 배경색 지정 HTML 문서의 배경색을 정하고 싶다면, background-color 속성에 16진수, 색상 이름, RGB 값 등을 입력해 색상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투명도(알파)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RGBA 등의 속성 값을 사용하면 됩니다. 크게 어려울 것은 없는 부분입니다. 선택자 { background-color: #008000; background-color: rgb(0,120,1); background-color: green; } 다만, 부모-자식 요소 간의 스타일 상속과 관련해 예외사항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background-color 속성은 상속 대상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서 폰트, 글자 크기 등의 속성을 태그에 적용하면 모든 웹..
[CSS] 4. 레이아웃 설계(2) - float 1 ○ float : 블록 레벨 요소의 배치 방향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태그 요소 중에서 를 떠올려 보겠습니다. 요소를 이용해 텍스트를 작성했는데, 이 문단 자체의 좌측 또는 우측에 이미지를 붙여서 표시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배웠다시피 태그는 블록 레벨의 요소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바로 다음 줄에 이미지가 표시될 것입니다. float 속성은 이런 경우에 사용하게 됩니다. float 속성을 활용하면 텍스트나 이미지의 주변에 요소들이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가 가능해집니다. float 속성은 단어의 뜻 그대로, 어떠한 HTML요소를 '왼쪽 구석' 또는 '오른쪽 구석'에 (강제로) 띄워놓는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워드 프로세서에서 간혹 텍스트와 이미지 배치를 결정하는 것을 본 적이 있으실..
[CSS] 3. 박스 모델(5) - 여백 속성(margin, padding) 1 ○ margin 속성의 이해 margin은 각 요소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요소 주변의 여백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margin은 border 관련 속성들과 마찬가지로 margin 값을 일괄로 적용하거나, margin-위치를 통해서 개별적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선택자 { margin: 크기 | 백분율 | auto; } border 속성 값을 지정할 때와 마찬가지로, margin의 속성 값은 한 개부터 네 개까지 작성하는 개수에 따라서 적용 규칙이 달라진다. border와 동일하므로 이전의 내용도 함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margin1 { margin: 50px; } #margin2 { margin: 30px 50px; } #margin3 { margin: 30px 20px 50px; } #..
[CSS] 3. 박스 모델(4) - 테두리 스타일 2 ○ border-width : 테두리의 두께 지정 테두리의 스타일(border-style)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박스의 테두리의 두께도 지정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예시처럼 px과 같은 크기 값을 직접 입력하거나, 예약어를 통해서 두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선택자 { border-width: [크기] | thin | medium | thick } 참고로 border-style때와 마찬가지로, border-top | right | bottom | left-width와 같은 방식으로 위치에 따라 개별적인 속성 값 지정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방식으로 각 테두리의 두께 개별 지정도 간단하게 가능하니 확인해 보겠습니다. 우선 border-width에서 속성 값으로 최소 한 개, 최대 네 개(to..
[CSS] 3. 박스 모델(4) - 테두리 스타일 1 ○ 박스 모델의 방향(위치) 박스 모델을 기반으로 HTML 문서의 요소를 배치할 경우, 각각의 박스 모델의 여러 가지 속성 중 테두리와 관련된 스타일을 사용하게 됩니다. 단순히 '사각형을 그린다' 이외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이죠. 우선 박스 모델에는 4개의 방향을 지칭하게 됩니다. 이는 마진, 패딩, 테두리 모두에 해당하게 되는 부분이므로 잘 기억해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용어 자체는 어렵지 않습니다. top(위) → right(오른쪽) → bottom(아래) → left(왼쪽)입니다. 이 속성을 이용해서 스타일을 일괄 지정하거나 개별적으로 지정이 가능한데, 위에서 위, 오른쪽, 아래, 왼쪽 순서를 정의해 두었습니다. 이는 top을 기점으로 시계방향으로 작성된 것인데요, 이 방향이 어떻게 사용..
[CSS] 3. 박스 모델(3) - box shadow ○ box-shadow : 박스 모델에 그림자 효과 적용 CSS에서도 일반 워드 프로세서와 마찬가지로 그림자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그림자 효과는 box-shadow 속성을 이용해서 적용할 수 있고, 이미지 또는 태그 전체 영역에 지정하여 삽입할 수 있습니다. 이 속성은 속성 값이 꽤 많이 갖고 있는데, 지정해야 하는 값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선택자 { box-shadow: inset; } 우선 box-shadow 속성에서 수평 거리(가로), 수직 거리(세로)는 필수 값입니다. 아래 표에서 각 값들의 정의에 대해서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분류 내용 수평 거리 가로로 그림자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지정합니다. 양수는 요소의 오른쪽, 음수는 요소의 왼쪽에 그림자를 생성합니다. 수직 거리 세..
[CSS] 3. 박스 모델(2) - 사이즈, 크기 지정 ○ width, height : 콘텐츠 영역의 크기를 지정 우리는 앞의 과정을 통해서, 하나의 요소 안에 콘텐츠 / 패딩 / 박스 / 마진의 영역이 구성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특정 요소에서 width, height를 통해 어떤 크기를 지정하게 된다면 이것은 어디에 해당하게 되는 것일까요? 바로 '콘텐츠'영역의 크기를 지정하게 됩니다. width, height 속성 값은 아래와 같은 값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분류 내용 auto 콘텐츠의 분량에 의해 박스 모델의 너비/높이의 값이 자동으로 결정되며, 디폴트 설정입니다. 크기 px이나 em 단위로 지정합니다. 백분율 박스 모델의 부모 요소를 기준으로, 너비/높이의 값을 백분율로 지정합니다. 해당 속성 값을 지정하는 예시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
[CSS] 3. 박스 모델(1) - 블록 레벨, 인라인 레벨 CSS에서 이야기하는 박스 모델은, 우리가 보게 되는 HTML의 내용 전반을 박스 형태로 정의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문서의 형태를 다양하게 설계되지만, 대부분의 요소들이 '박스'로 나누어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개념이라고 생각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우선, 박스 모델의 구성을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요소와 관련해 다음 두 가지 레벨의 요소를 알고 가야 합니다. · 블록 레벨(block-level) 요소 블록 레벨 요소란 무엇일까요? 어려운 개념인 것 같지만, 사실 의외로 간단한 개념입니다. '태그를 사용해 요소를 삽입하면, 혼자서 한 줄을 모두 차지하는' 것을 의미하게 됩니다. 즉, 해당 요소의 width가 100%로 브라우저 한 줄을 모두 차지한다는 것이죠. , ,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 인라인 레벨..